안녕하세요
이번에는 aws 로드밸런서 생성 및 도메인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로드밸런서는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면 서버가 다운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위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을 특정 서버에 부하가 되지않도록
서버 여러대로 분산처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로드밸런서는 aws ec2 대시보드에 접속하셔서
로드밸런서 메뉴를 클릭하면 생성된
로드밸런서 목록이 출력됩니다
오른쪽 상단을 보면
로드밸런서 생성 버튼이 있는데 클릭하시면
로드밸런서를 생성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먼저 로드밸런스 유형을 선택하는 항목이 나옵니다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 게이트웨이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Application Load Balancer는 OSI 7 Layer의 7 계층 중
Application Layer의 특성을 이용한 로드밸런서 입니다
그림에 나타난것처럼 Http의 헤더의 값들을 보고
이 요청은 어느 대상그룹으로 보낼지 판단하는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Network Load Balance는 OSI 7 Layer 4계층에 해당하는
Transport Layer의 특성을 이용한 로드밸런서인데요
TCP, UDP 의 요청을 받아들여 부하분산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Gateway Load Balnace는 OSI 7 Layer 3계층에 해당하는
Network 계층에서 작동하는데요
IP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자 규칙에 지정된
대상그룹으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웹페이지를 다루는 분이시라면,
Application LoadBalancer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create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로드밸런서를 생성하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먼저 로드밸런서명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아래는 가용영역을 선택하는 화면(왼쪽사진)입니다.
가용영역은 ec2 대시보드에 접속하시면
서비스 상태(오른쪽 사진) 영역을 보시면
사용가능한 가용영역이 표시됩니다
해당 가용영역 중 일치하는 것을 최소 2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세번째는. 보안그룹을 설정하는 곳인데
해당 보안그룹은 로드밸런서와 연결할 인스턴스의
보안그룹과 일치시켜주면 됩니다
인스턴스의 보안그룹을 확인하는 방법은
EC2 인스턴스 목록에서 연결하려는 인스턴스 클릭하면
하단에 세부정보가 나오는데 이 때 보안 탭을 클릭하시면
보안 그룹 아이디가 출력됩니다
이제 리스너 및 라우팅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http / https 통신으로 요청을 받으면
어디로 리다이렉션을 해줄 것인지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기본값은 http 80포트로 Default action은 공란으로 되어있는데요
공란으로 두시거나 / 를 입력하시거나 원하는 경로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아님 http 프로토콜인데 80이 아닌 특정 포트를 지정하고싶다면
Add Listen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나는 Https 통신을 하고싶다고 하시면
Protocol을 누르면 HTTPS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HTTPS 선택하면 Port는 자동으로 443으로 변경됩니다
태그 입력은 생략가능하지만
추후 로드밸런서 관리할 때 용이하기 때문에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로드 밸런서 생성이 되며 [ 로드밸런싱 ] - [ 로드밸런서 ] 메뉴로
이동합니다
로드밸런서 메뉴에는
현재 생성되고있는 로드밸런서와
이전에 등록했었던 로드밸런서 목록들이 출력됩니다
상태가 대기중에서 활성으로 바뀌는데 보통 15분정도 걸립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다른 계정으로 이전(복제)하는 방법 (0) | 2022.04.22 |
---|---|
aws 인스턴스 복구시키는 방법 (0) | 2021.12.26 |
aws 인스턴스를 스냅샷으로 백업하는 방법 (0) | 2021.12.25 |
aws 인스턴스에 외부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0) | 2021.12.24 |
aws 인스턴스에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0)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