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재성님 junit4 테스트 라이브러리 기본 사용법 유튜브 영상을 본 후 정리한 내용입니다
아래의 계산기 클래스 기능이 잘 작동되는지 테스트 하기위해
테스트 라이브러리인 Junit4를 사용하였다.
Junit은 단위테스트 프레임 워크이다.
이클립스에서는 Alt + Shift + N
Inteli j 에서 Ctrl + Shift + R 을 입력하여 Junit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테스트 클래스명은 일반적으로 클래스명 뒤에 접미사 Test 붙이는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Junit을 테스트할 때는 함수 위에 @Test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
assertEquals는 Junit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함수인데
두번째 파라미터 값이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원하는 결과값) 맞는지
비교해주는 함수이다.
즉, result가 내가 기대하고 있는 값인 3가 맞는지 확인해주는 것이다.
테스트를 실행하려면 Ctrl + F11 을 눌러주면 실행이된다
실행하게되면 오른쪽과 같이 테스트 실행한 함수명과
실행결과를 나타내는 창이 표시된다.


만약 아래와 같이 기대값과 결과값이 일치하지않는 경우,
Failurs에 1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왜 테스트 실패했는지 알고싶은 경우,
테스트 결과창 아래에 Failure Trace 옆에 컴퓨터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java.lang.AssertionError : expected : <2> but was <3>"
기대값은 2라고 입력했는데 결과값은 3이므로
기대값과 결과값이 일치하지않아서 실패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